반응형
ssh 수행 시 exit code 133, 139 발생 조치 방법
이슈 상황
저의 경우 ssh 로 쿠버네티스위에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동시에 명령어를 수행해서 완료 여부를 체크하는 업무 프로세스가 있었습니다.
근데 어느날 갑자기
ssh 로 특정 서버에 직접 접속한 뒤, 명령어 수행 시에는 되는데,
ssh 로 한번에 pod 생성 명령어를 칠 경우는 exit code 133 또는 139가 발생하면서 바로 수행하지 못하고 종료되어버리는 이슈가 발생해서 몇 주간 곤혹을 치렀습니다.
해결 과정
동일한 작업을 ssh 로 바로 수행하는 작업과
ssh 접속 후 직접 수행하는 작업을 비교하니
성공하는 경우는 TTY(TeleTYpewriter) 를 배정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

해결방법
ssh 명령 시 강제로 tty 를 할당받도록 -t 옵션을 수행하면 됨
-t : pseudo-tty 강제 할당
133, 139 exit code 발생 명령어
ssh 172.0.0.1 "명령어"
133, 139 exit code 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명령어
ssh -t 172.0.01 "명령어"
POD의 경우에는 tty : true 를 설정하면 됨

반응형
'Software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카카오 API 로 카카오톡 메시지 보내는 방법 ① 인증 토큰 받는 방법 상세 (1) | 2025.04.04 |
---|---|
아나콘다 Anaconda Jupyter notebook 의 실제 경로 찾는 방법 (0) | 2025.01.14 |
[Python] 현재 Jupyter 커널이 쓰는 Python 위치 코드로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5.01.14 |
Python 경로에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법 (1) | 2023.10.26 |
Python 리눅스 명령어 치고 결과를 받는 방법 (subprocess) (0) | 2023.10.23 |